시아의 기원 (the roots of Shiism)
시아 이슬람이 무엇이고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무하마드 사후인 632년의 역사적 상황들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메카에서 메디나로 히즈라를 감행한 10년 후인 632년 무하마드의 죽음은 종교적으로 그리고 정치적으로 중요한 위기상황을 초래하였다. 무하마드는 이슬람 공동체의 종교적·정치적 지도자였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어느 누구도 감히 실행할 수 없는 최후의 예언자(nab?)이자 신의 사자(ras?l)였다. 이러한 무하마드의 중요한 역할 때문에, 그의 죽음은 과연 이슬람 정치 체제가 카리스마적인 인물의 손실에도 불구하고 생존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물론 이슬람 정치체제는 무하마드의 죽음 이후에도 존속하였다. 그러나 무하마드 이후 칼리파(계승자) 계승권을 둘러싼 투쟁은 궁극적으로 이슬람 세계를 수니와 시아로 양분하고 말았다.
예언자 무하마드 사망 이후 시아로 알려진 일부 무슬림들은 무하마드의 혈통인 알리가 이슬람 공동체의 칼리프가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이 집단의 이러한 믿음은 결국 시아 이슬람으로 알려진 조직체의 형성에 정치적 동기를 제공했다.
시아 이슬람의 첫 번째 이맘인 알리는 우리가 세계사 시간에 배운 이슬람의 정통 4대 칼리프 중에 마지막 4대 칼리프이다. 알리는 어려서부터 무하마드에 의해 키워졌으며, 무하마드의 사랑하는 딸 파티마의 남편이기도 하다. 알리는 어려서부터 늘 무하마드과 함께 했으며, 무하마드의 모든 여정을 함께 하고 무하마드와 이슬람을 위해 자신의 것을 버린 용감하고 지혜 있는 자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무하마드도 종종 알리의 용맹함과 신실함을 칭찬하고 그에게 신뢰를 표현했다. 사람들은 무하마드의 생각을 가장 잘 이해하고 수행하는 알리가 무하마드 사후 그의 자리를 이을 가장 적임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무하마드의 사후 그의 자리는 무하마드의 장인이자 오랜 친구인 아부 바크르에게 넘어갔고, 그 사실에 승복하지 못하고 알리를 진정한 이슬람의 지도자라고 여기며 따르는 사람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아부 바크르는 2년의 칼리프 직을 수행하고 죽었다. 그 후 칼리프의 등극은 역시 알리가 아닌 우마르였다. 하지만 우마르는 알리를 존중하고 그에게 조언을 얻으면서 정복사업을 펼쳐 가장 넓은 이슬람의 팽창을 이룩했다. (이 때 이란도 페르시아 왕국이 무너지고 이슬람으로 정복되었다)
10년의 치세 후 우마르가 죽자 또 다시 칼리프 직은 우스만에게 넘어갔다. 점점 알리를 추종하는 사람들의 불만은 커져 갔다. 탐욕이 강했던 우마르는 이슬람으로 정복한 각 지역에 자신의 친척들을 책임자로 보내 친정체제를 구축해 갔다. 그 동안의 민주적이었던 이슬람 세계가 점점 우스만에 폭정에 그 의미를 잃어 가자 그에 대한 불만이 폭발하여 폭동이 일어나고 우마르는 암살을 당한다.
드디어 알리가 많은 사람들의 추대로 마지막 정통 칼리프 직에 오른다. 하지만 당시 우스만의 지명으로 시리아 총독으로 있던 무아위야가 반란을 일으키고 칼리프에 대항한다. 이 전쟁으로 인해 수천 명의 무슬림들이 죽는다. 전세가 불리해진 무아위야는 알리 측에 협상을 요구하고, 이 일을 두고 알리의 추종자들은 무슬림으로 끝까지 싸움을 주장하는 주전파와 알리를 포함한 코란의 명령대로 화해를 주장하는 협상파의 두 갈래로 나누어진다. 결국 무아위야와 협상을 하게 되고 끝까지 싸움을 주장하던 사람들은 알리의 진영에서 떠나게 된다.
이들이 바로 이슬람 최초의 종파인 카리지(Kharijite)파이다. 이들은 이후 공공연히 알리의 암살을 노렸으며 실제로 이라크 쿠파의 한 모스크에서 기도하던 중 카리지파의 전사의 독 묻은 칼에 죽임을 당하게 된다.
이후 시리아 총독이던 무아위야가 이슬람의 권력을 잡고 스스로 칼리프라고 지칭하고 우마이야조를 창설한다. 그 이전까지 원로들의 추천과 선거로 정해지던 칼리프는 무아위야 이후로 한 가문에 의해 세습되기 시작하면서 초기 이슬람의 정신에서 벗어나기 시작한다. 그리고 무아위야가 죽은 후 자신의 아들 야지드에게 칼리프 직을 물려주었다.
이때까지도 사람들은 숨어서 알리를 추모하고 알리의 가문을 따르는 사람들이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크게 드러나게 활동하지 않았다. 그러나 알리의 둘째 아들인 3대 이맘 후세인이 카르발라에서 야지드의 대군에 의해 무참히 살해된 것을 전해들은 후 알리를 추종하는 세력들은 급속도로 모이기 시작하고 이것이 시아 이슬람의 태동이 되었다.
'종교................... > 이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슬람의 발흥과 급속한 발전원인 (0) | 2008.07.18 |
---|---|
수니파와 시아파의 비교 (0) | 2008.07.18 |
시아 이슬람이란 (What is Shiism) (0) | 2008.07.18 |
후세인 (3대이맘)-시아의 가장 중요한 인물 (0) | 2008.07.18 |
시아의 정파 (0) | 2008.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