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터키

케말주의 VS 쿠르드 민족주의

지평선의순례자 2008. 7. 21. 21:09

케말주의 VS 쿠르드 민족주의

 

출처 카페 > 주님이 주신 땅으로 | 산들
원문 http://cafe.naver.com/areastudy/244

 

터키 공화국이 1920년, 케말 아타투르크에 의해 탄생했다. 터키 지도자들은 쿠르드 정체성의 분열을 조장했으며 쿠르드 언어의 사용조차 법으로 금지시켰다. 1960~61년까지 위대한 이슬람 신학자이자 쿠르드 민족주의자로서 이슬람 혁신주의자의 한 사람이었던 누르시(Said Nursi)가 군부세력에 의하여 살해 되었다. 그 다음 해, 법원이 쿠르드 언어와 문화를 금하는 법을 적용하는 동안 극우의 군부세력은 협상 및 전략적 문제에 대하여 마찰을 빚고 있었다. 1960년 쿠데타 주동자의 한 사람이었던 투르크스(Turkes)대령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만일 쿠르드족이 국가를 건국하겠다는 환상을 추구한다면 그들은 지구상에서 사라질 것이다. 우리 터키 민족은 말할 수 없는 노력과 피의 대가로서 획득한 조국을 노리고 있는 자들을 처단하는 방법을 보여주어 왔다. 그 방법이란 1915년 아르메니아인이나 1922년 그리스인들의 운명처럼 이 땅에서 제거하는 것이다.”

 

쿠르드 민족주의 진영 내에서 극도의 혼란이 일어났다. 한 파벌은 비록 명백히 좌익성향을 가졌지만 마르크스주의를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했고, 지식인들로 구성된 다른 한 파벌은 오직 사회주의만이 터키에서의 쿠르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쿠르드 민족주의자들의 요구는 급진화 되었고 그로 인하여 터키 대도시의 노동운동 및 학생운동이 갑자기 가속화 되어, 1969년 기간 동안 수백 수천의 노동자들이 시위를 하고 이스탄불에서 경찰과 충돌했다. 1970년에 지식인들과 청년들은 “동부문화 혁명결사체(DDKO)"를 결성하고 곧 쿠르드 도시와 주요한 터키에 연락망을 구축할 수 있었다.

 

강경파 케말주의자들은 급진주의화 된 쿠르드 민족주의에 대응하여 터키를 100% 터키인으로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는 어떠한 전쟁도 성전으로 간주했다. 국가는 또한 국가의 사명을 위한 도구로 간주되었다. 즉, 그 사명이란 터키를 근대화시키는 것이다.

 

1980년 대통령 선거는 위기를 풀어내기에는 정치권이 무능력하다는 것을 나타내어 터키 민주주의에 다시 한 번 조종을 울렸다. 다른 많은 요인들과 함께 같은 해 9월 12일 군부의 개입은 정당화 되었다.

 

터키군은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혼란한 틈을 타서 이라크령 쿠르디스탄에서 1983년, 1984년, 1987년의 세 차례나 쿠르드족에 대한 토벌작전을 시도했다. 이 개입은 바그다드 조약의 규정에 의한 것이다. 동시에 터키는 사담 후세인을 설득해 1984년 PUK의 지도자인 잘랄 바르자니와 서명했던 협정을 파기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철저한 방법에도 불구하고 군사계획은 실패했다. 1980년 9월 12일 이래로 쿠르드 노동당(PKK)은 터키 군의 폭력에 대항하여 조직적인 무장투쟁으로 맞서지 않을 수 없었다.

 

정부는 1989년 여름에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군대를 어느 정도 확대 개편했다. 남동 아나톨리아에서 주민들은 터키 정부군과 쿠르드 게릴라 사이에서 고난을 겪었다. 게릴라들은 자신들에게 협조하기를 거절하는 주민들에게 무차별 만행을 저질렀다. 한편, 터키 군은 때때로 쿠르드 반란군을 돕는 주민들을 위협했다. 그러한 결과로 남동부 주님들은 계속되는 포위, 공격 상태에 있었다. 이와 같이 터키에 있는 쿠르드인들은 고문을 포함한 강제 이주, 성명 개명, 쿠르드 문화 및 언어 사용의 금지와 같은 문제로 이중 삼중의 어려움을 겪었다. 쿠르드 민족주의를 받아들이는 데에 대한 상당한 거부감이 케말주의 사상에 물들은 통치집단 내에, 그리고 국민의 대다수 사이에 팽배해 있다.

 

터키 민족주의와 쿠르드 민족주의 사이에 존재하는 원한과 불신은 문화적인 이유만큼이나 경제적인 이유도 많은 자리를 차지한다. 의회에서 쿠르드족을 대변하는 정당이 생겼다는 것 자체가 터키 민족주의가 쿠르드 민족주의를 흡수하는데 실패한 것을 입증한 것이다. 터키 보안군이 쿠르드인 통제에 실패한 것은 분명했다.

 

――――――――――――

참고도서 : 장병옥, 「쿠르드족 배반과 좌절의 역사 500년」, (2005. 한국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중동................... > 터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르드족의 최대 명절 Newroz  (0) 2008.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