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생활안내
- 목 차 -
Ⅰ. 이란 개관
Ⅱ. 도착전 준비사항
1. 사증 2. 식품 3. 건강진단 4. 기후 및 의복 5. 이사화물
6. 각종 증명서
Ⅲ. 도착후 참고사항
1. 주택 2. 식품 3. 교육 4. 자동차 5. 이사화물 6. 공항
7. 쇼핑 8. 식당 9. 호텔 10. 관광 11. 종교활동 12. 언론매체
13. 치안상태 14. 한국대사관 15. 재외동포현황 16. 우리기관 및 상사현황
17. 교통, 통신, 우편제도 18. 어학교육기관 및 학원 19. 긴급상황 대처요령
Ⅳ. 기타 일반사항
1. 환전 2. Tip 제도 3. 미용 및 이발 4. 이란 공휴일 5. 인터넷 사용환경 6. 한국과의 시차 7. 한국신문 구독 가능성 8.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9. 전력사용 현황 10. 기타 참고사항
Ⅰ. 이란 개관
국 명 : 이란회교공화국(The Islamic Republic of Iran)
기 후 : 대륙성 기후(4계절), 남부는 아열대성
면 적 : 165만 ㎢ (한반도의 7.5배)
인 구 : 6,700 만명 (2003년 추정)
수 도 : 테헤란 (Tehran, 1,200만명)
주요도시 : 마샤드, 이스파한, 타브리즈, 쉬라즈
인 종 : 페르시아족(51%), 아제르바이잔족(24%),
길락-마잔다란족(8%), 쿠르드족(7%), 아랍족(3%) 등
언 어 : 이란어(Farsi)
종 교 : 이슬람(국교, 시아파)
교 육 : 의무교육 8년
국 경 일 : 2.11(회교혁명 기념일)
정부형태 : 회교공화국(최고지도자 중심제)
최고지도자 : 하메네이(Ayatollah Seyyed Ali Khamenei)
대 통 령 : 아흐마디네자드(Mahmoud Ahmadinejad)
의 회 : 단원제(290석, 임기 4년)
영 해 : 12마일
국 방 : 정규군 40만명, 혁명군 20만명
화폐단위 : 리얄(Rial) US$ 1 = R.8,995(2005.7.11 현재)
회계연도 : 매년 3.21부터 익년 3.20까지
주요자원 : 석유 매장량(세계 2위), 천연가스 매장량(세계 2위)
Ⅱ. 도착전 준비사항
1. 사증 (VISA)
일반여권 소지자는 사증 사전 취득 필요(이란에서 근무시는 노동 허가 포함)
외교관여권, 관용여권 소지자는 체류기간 3개월이내는 사증 불요
주한 이란 대사관 연락처
- 주소 :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726-126
- 전화번호 : (02)793-7751-3
- FAX : (02)795-5126
2. 식품
현지에서 구입 가능한 채소나 식품 : 한국인이 좋아하는 각종 야채, 과일, 쌀 등을 쉽게 구입 가능)
현지에서 구입 불가능한 식품 : 된장, 간장, 고춧가루, 고추장, 참기름, 라면, 멸치, 미역 등은 구입 불가하므로 서울 또는 제3국에서 구입해야 함.
* 음주가 법에 의해 금지되어 있으므로 주류 반입은 불법 행위에 해당되어 구속 또는 추방 등의 엄한 처벌을 받게 됨.
3. 건강진단
의사의 수준은 상당하나 의료시설이 부족한 실정
의료기관에서 분야별 검진은 용이하나 우리나라과 같은 종합진단센타의 시설이 미비하므로 출국전 건강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함.
4. 기후 및 의복
수도인 테헤란은 4계절이 뚜렷하므로(여름철 6-8월은 고온건조함), 4계절 의복이 필요
- 서울에서 입던 의복을 그대로 가지고 오면 됨.
- 겨울에 눈이 내리나 서울과 같은 혹한은 아님.
현지 생산 의복과 수입품이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현지 제품의 품질은 떨어지나 가격은 싼 편이며 수입품은 고가
가능한 모든 의류(속옷에서 코트까지)는 한국에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
- 이란 입국시 여성은 반드시 스카프 및 긴 코트를 입어야 입국이 가능하므로 복장에 각별히 유의해야 함.
5. 이사화물
가. 전기 및 전자제품
현지 T.V. 및 Video 방식 : Secam과 PAL 공용
현지 전기시스템 : 220V / 50Hz
한국제품(50Hz / 60Hz 겸용제품)은 대부분 사용 가능
정수기, 전기담요는 한국에서 구입 요망
나. 가구, 비품 및 장식품
침대, 소파, TV, 냉장고 등 기본적인 가구 및 주방용품은 비치되어 있는 주택 임차 가능
현지가구 가격은 한국에 비해 낮은 가격이나 품질이 떨어짐.
대부분의 임차주택은 기본 가구를 갖추어 놓고 있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가구는 가져올 필요 없음.
다. 자 동 차
외국 완성차의 수입을 원칙적으로 2003.9 부터 허가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고율의 관계로 인해 수입차가 거의 없음.(벤츠C-240의 경우 $120,000 예상)
현지 조립생산 외제차가 다수 있으나, 가격이 매우 비싸며 성능이 떨어짐. 가격은 소형차 US$ 8,000 - 15,000, 중형차 US$ 35,000 - 60,000 수준
- 기아 프라이드(이란 국산화율 89%) : US$ 8,000상당
- 현대 베르나는 현지 생산중
- 기아 리오는 생산추진중
- 대우 씨에로, 마티즈는 GM대우 출범후 생산중단으로 중고차만 구입가능
라. 이사화물 탁송 및 보험
Door to Door 및 Door to Port 가능. 그러나 한국에서 이삿짐 센타에 의뢰를 할 때 Door to Door로 계약을 하더라도 현지 Agent에서 계약이행을 거부하는 경우가 가끔 있으므로 계약시 주의를 요함.
하역 항구 Bandar Abbas에서 테헤란까지 운송료는 20 feet 컨테이너의 경우 통관, 운송료는 약 US$ 1,700 소요
통관서류 및 보험관계 : B/L과 주재국 세관에서 발행하는 Arrival Notice가 필요하며 보험은 Door to Port 경우 하역항구에서 자택까지의 보험(선적지에서 보험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이 있으나 절차가 까다로워 Door to Door로 한국에서 보험까지 체결하는 방식으로 이용 하는 것을 적극 권장함.
6. 각종 증명서
가. 국제 면허증
국제면허증 통용여부 : 1년간 유효
일정기간 한국면허증으로 운전가능 여부 : 입국일로부터 6개월간 가능
현지 면허증 교체시 소요기간 : 2개월 정도
나. 무사고 운전 증명서 : 보험가입시, 할인 혜택제도가 없으므로 불요
다. 자녀 입학 관련 서류
한국학교 : 생활기록부, 건강기록부, 전입학의뢰서
인터내셔날 : 재학증명서, 수료증명서, 아동예방접종카드
라. 이사화물 탁송 관련서류 : B/L 및 보험서류
Ⅲ. 도착후 참고사항
1. 주택
주택사정은 양호한 편임.
입주시 유의사항
- 계약시 가구 및 주택사정을 계약서에 자세히 명기하여 계약 종료시 원상 복구 문제가 야기되는 것을 방지해야 함.
가구 등 비품 포함 여부 확인
- 부엌시설 : 냉장고, 가스오븐, 세탁기 식기세척기
- 가 구 : 응접세트, 식탁, 침대
2. 식품
대부분의 일반 식품은 현지시장에서 조달 가능하나, 한국음식 재료인 된장, 고추장, 간장, 고춧가루 등은 한국 또는 제3국 (바레인, U.A.E)에서 구입, 사용해야 함.
외국인을 위한 면세점이나 백화점 등의 쇼핑센타는 없음. 그러나 전자제품, 가구, 생활용품 상점이 산재되어 있어 상당수의 일반용품 구입은 가능함.
3. 교육
가. 학제 개요
사립, 공립(초등, 중등, 고등, 대학교)
2부제 혹은 3부제 수업(초등, 중등, 고등, 대학교)
나. 학교 현황 및 교육비
- 한국학교 : 초등학교 과정만 있음. (분기별 약 US$ 500)
- The British School : 초등학교 과정만 있음.(연간 8,500파운드)
- Int'l school(Tehran Int'l school) : 연간 800만 리알
(US$ 1,000 상당) + US$ 700 (등록비)
* 이태리, 불란서 학교 등이 있으나, 자국어로 수업
- Local school
· 초등학교(5년) 공립 : 무료
사립 : 연간 5백만 리알(약 US$ 580)
· 중 학 교(3년) 공립 : 무료
사립 : 연간 6-7백만 리알(약 US$ 690-810)
· 고등학교(4년) 공립 : 무료
사립 : 연간 8-10백만 리알(약 US$ 926-1,158)
다. 현지학교 입학절차
- 초등학교 : 만 7세 이후 취학
- 중등 및 고등학교 : 공립은 학구제, 사립은 학구제를 적용하지 않음.
* 외국인의 현지학교 입학은 불가능(시민권 취득 교민 2세 제외)
라. 필요 서류
- 유치원 : 보호자의 거주허가 및 노동허가 사본
(한국 유치원 없음)
- 한글학교 : 생활기록부, 건강기록부, 학교 전입학 의뢰서
4. 자동차
차량 번호판
- 차량 구입시 공장에서 임시번호판 부여 임시번호판 반납시 차량번호판 부여
자동차 보험
- 차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중형차 신차의 경우 US$ 1,000-1,500 정도
- 무사고 증명서는 인정하지 않음.
유류(무연)
- 고급 휘발유 : 리터당 1.100리얄(약 129원)
- 일반 휘발유 : 리터당 800리얄(약 94원)
운전시 유의사항
- 교통질서 매우 문란하며 안전운행이 절대 요구됨. 안전벨트 착용은 형식상 의무화 되어 있음.
- 일방통행 역주행, 반대차선 주행, 고속도로상 후진, 끼어들기, 신호무시 등 문란한 교통질서로 인해 자가운전이 매우 힘듬.
- 주차위반은 철저히 단속하는 편이나 직진 원칙이 잘 지켜지지 않고, 속도 위반은 거의 단속치 않음.
현지 운전면허 시험 개요
- 교통법, 차량정비 개요, 시내주행(필기, 단거리, 장거리, 주차)
- 국내면허증 소지자일 경우 시력검사 및 서류심사로 대체하며 이란 면허증으로 교체해 줌.
5. 이사화물
Door To Door 서비스시 통관 절차 간단 (본인 입회하에 (여권지참) 물품 확인 절차후 세관으로부터 물품 인수 운송회사가 자택까지 운반해줌)
6. 공항
공항 위치 및 공관과의 거리 : 공관에서 30분 거리, 20km
- 신공항(시내중심부에서 70km)이 2005.4.30부터 개항함. 걸프지역(두바이, 쿠웨이트, 도하 등)을 왕복하는 국제선만 등 신공항 IKA(Imam Khomeimi Airport)에 취항하며, 그 외의 국제노선은 기존의 테헤란 Mehrabad 공항에 이착륙. 추후 모든 국제선은 신공항(IKA)로 취항할 예정
7. 쇼핑
면세점 : 시내에는 없음.(공항내 면세점은 판매품목이 다양하지 못함)
백화점 및 기타 상점 : 외국인을 위한 쇼핑센터는 없으나 전자제품 상점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 있고, 가구상점 역시 밀집 되어 있어 구입 용이
개점 시간 : 09:00 - 13:00 / 16:00 - 21:00
수입이 원활치 않아 외제품의 값은 아주 비쌈.
8. 식당
이란 전통음식 Kebab 식당이 주류이며, 이란인이 운영하는 중국, 불란서, 이태리 식당이 있으나 현지화된 음식임.
9. 호텔
가. 현지 호텔 현황
A급 호텔 : 4개(Persian Charmran, Persian Elahiyeh, LALEH, HOMA)
B급 호텔 : 10개
나. 등급별 숙박료(싱글룸 기준)
A급 호텔 : US$ 150
B급 호텔 : US$ 100
C급 호텔 : US$ 30-50
D급 호텔 : Guesthouse (게스트하우스) US$ 5-15(dormitory room)
*(편집자 주) 테헤란 시내엔 1박 10$정도의 저렴한 Guest House가 많다. 이맘 호메이니 광장 근처의Mehr Guesthouse를 추천한다. 전엔 일본인 학생들이 주로 가는 곳이었으나, 최근엔 우리나라학생들도 곧잘 간다.
디른 도시에서도 상황은 그와 비슷하다. 론리플래닛IRAN 에 나온 <저렴한 숙소>를 참조할 것!
다. 예약 등 기타사항
1주일전에 예약을 원칙으로 함.
서비스 Charge 15%
10. 관광
1) 카스피해 연안
- 이란에서 휴양지로는 첫 번째로 손꼽히는 곳. 테헤란에서 북쪽으로 약 4시간 거리, 600km의 해변따라 포장도로가 곧게 뻗어 국경까지 이어져 있음.
- 밀림지역이 많고 습하여 한국날씨와 흡사한 해변 주변에는 민박업소, 빌라들이 많이 늘어져 있으며 레저스포츠를 즐길수가 있음(수상스키, 요트등).
- 세계 최상품인 철갑 상어의 알(캐비어)이 이곳에서 생산되며, 귤과 쌀의 생산지로도 유명함.
- 산 전체가 귤나무 인만큼 귤재배에 적합한 기후로 어디서나 신선한 귤을 즐길수 있음.
2) 쉬라즈
- 다리우스왕(522-485BC) 집권당시 건립되었던 당대의 최대 건축물이었던 Takht-e-jamshid(Persepolis)궁전이 있는 곳이며, '페르시아'문명의 발상지인 Fars 주의 중심도시. 당대의 최고의 시인 '사아디'와 '허페즈'시인들의 무덤이 있는 곳. 테헤란에서 항공편으로 1시간여 정도 소요(약 900km 거리)
3) 이스파한
- 압바스왕조때 이란 수도였던 지역. 폴커주(Khaju Bridge), 시오세폴, Ali-ghqpu, 이맘광장, 이맘모스크, 체헬소툰 궁전들이 유명하며, 테헤란에서 5시간 거리(400km)
4) 마샤드
- 8번째 이맘인 레자가 순교한 곳으로 시아파의 성지. 유적지로는 이맘 레자의 무덤, 문화예술의 유래가 깊은 곳으로 주요 건축물의 양식은 현대까지 연구 응용되고 있음. 이란어인 '화르시'를 만들어 낸 시인 학자 훼르도시의 묘지가 있음.
5) 하메단
- B.C 700년에 건립된 도시로 50km 떨어진 곳의 Ali-Sadr라는 마을에 '동굴'이 있으며, 도기의 주생산지로도 유명함.
11. 종교활동
한인기독교회, 한인천주교회가 있음.
불 교 : 사원은 없음.
12. 언론매체
T.V : 5 채널
일간 영자신문 : Tehran Times, Iran News, Iran daily, Kayhan international.
현지 신문일간 : Iran Jomhuri-e Islami, Kayhan, Hamshari 등 25-30개 전국지와 수백종의 지방지 및 정기 간행물이 있음.(수시로 창간과 폐간 거듭)
기타 : 격주간지 경제, 사회 및 문화소개 잡지가 다수
13. 치안상태
테헤란 이스파한 등 대도시는 대체적으로 양호하나, 여행객 및 여성들은 사람이 많은 곳에서 조심 필요
- 특히 여성의 경우 관광지 이외의 도시는 가급적 여행자제 필요
14. 한국대사관
주소 : No. 18, West Daneshvar st. Shaikhbahaei ave. Vanak sq. Tehran, Iran.
전 화 : (0098-21) 8805-4900 - 4
팩 스 : (0098-21) 8805-4899
E-Mail : emb-ir@mofat.go.kr
http://www.mofat.go.kr/iran/
근무시간
- 일요일 - 목요일 : 08:30 - 16:30(점심시간 12:00 - 13:30)
- 금요일, 토요일은 공휴일
* 공관 현지 경비원 24시간 상주
15. 재외동포현황
대부분 주재상사원, 건설사 직원 등 체류자이며 소수의 이란 국적을 취득한 국제 결혼자로 구성되어 있음. (2004.12월 현재 체류자 781명, 국제결혼자 47명, 합계 828명)
16. 우리기관 및 상사현황
가. 한인 단체
1) 재이란 한인회
- 창립일 : 1973년 3월
- 주 소 : No. 2nd F 1, No.69. Sayeh Alley. Jordan St.
- 전 화 : (98-21) 205-8731,9
2) 한인 기독교회
- 주 소 : 7-30TH TIR AVE. TEHRAN
- 전 화 : (98-21) 670 - 8698
3) 한인 천주교회
- 창립일 : 1978년
- 주 소 : NO. 73 NOFL AVE. TEHRAN
- 전 화 : (98-21) 670-3210
4) 한국인 학교
- 주 소 : NO. 21, 4TH ST., BUCHAREST AVE.
- 전 화 : (98-21) 8734910
- 교 사 : 한국인 교사
- 학 년 : 1-6학년(초등과정)
나. 진출 우리기업 현황
대림산업
- 주 소 : No.148, Near Mokro Drugstore,Khoramshahr Ave., Tehran
- 전 화 : (98-21) 8740687∼9
- FAX : (98-21) 8752044
대우 International
- 주 소 : No.27 Shahid Nayebi Alley, Vessal Shirazi Ave., Tehran
- 전 화 : (98-21) 6463571-7
- FAX : (98-21) 6469805,6492057
대우 건설
- 주 소 : 4th Fl., No.225, Nirza Shirazi Ave, Between beheshiti
Motahari
- 전 화 : (98-21) 855-4441~3
- FAX : (98-21) 855-4440
대우 전자
- 주 소 : 6th Fl., No.33, West Atefi St., Afriqa Ave., Tehran
- 전 화 : (98-21) 201-2855/65
- FAX : (98-21) 201-2871
동부한농화학
- 주 소 : No.4, 2nd Fl., Bldg 87, East Atefi, Africa Ave., Tehran
- 전 화 : (98-21) 2048255
- FAX : (98-21) 2056517
삼성전자
- 주 소 : No.39-34 14th St. Bokharest St. Tehran
- 전 화 : (98-21) 875-8551~3
- FAX : (98-21) 875-8554
삼성물산
- 주 소 : No.8, Khashayar St, North Gandhi Ave., Tehran
- 전 화 : (98-21) 8880512∼7
- FAX : (98-21) 8880518
SK Network
- 주 소 : Ostad Motahari Ave., Jahan Tab St., Shahid
Naghdi St. Block 30, Ground Floor
- 전 화 : (98-21) 8744351, 8754658
- FAX : (98-21) 874-2722
LG 건설
- 주 소 : No 63, 5th Fl., Zafar Ave., Shareeati St., Tehran
- 전 화 : (98-21) 2272401
- FAX : (98-21) 2272480
LG 상사
- 주 소 : No 63, 6th Fl., Zafar Ave., Shareeati St., Tehran
- 전 화 : (98-21) 2277063∼66
- FAX : (98-21) 2277067
LG 전자
- 주 소 : No 63, 2~4th Fl., Zafar Ave., Shareeati St., Tehran
- 전 화 : (98-21) 2277063
- FAX : (98-21) 2277067
코오롱 International
- 주 소 : No.23, Rahimi Aly., Vali Asr Ave., Tehran
- 전 화 : (98-21) 2058824, 2058847
- FAX : (98-21) 2058672
포스코 건설
- 주 소 : No.6, Farhad Alley, Daneshgah St., Darvaze Shiraz Ave., Esfahan
- 전 화 : (98-311) 627-0850/5302
- FAX : (98-311) 627-0238
현대종합상사
- 주 소 : No.7, Saba Blvd., Africa Ave., Tehran
- 전 화 : (98-21) 2050082/4
- FAX : (98-21) 2050085
현대건설
- 주 소 : No.7, Saba Blvd., Africa Ave., Tehran
- 전 화 : (98-21) 2050081, 2053276
- FAX : (98-21) 2053277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 주 소 : 1st Fl., No.33, South Atefi St., Africa Ave. Tehran
- 전 화 : (98-21) 202-7003, 202-7004
- FAX : (98-21) 201-2733
17. 교통, 통신, 우편제도
가. 교통수단 : 버스, 시영택시, 기차, 콜택시, 비행기
콜택시 제도가 잘 발달되어 있음.
나. 통신 및 전화제도
전화(공중전화 포함, 기계식 시스템), FAX, TELEX
장거리전화 : DDD
* 공중전화로 국제전화는 불가능
통신사정(국제전화)이 극히 좋지 않음.
다. 우편제도
소포, 항공우편, 선박우편, 등기, DHL, 속달우편 등
18. 어학교육기관 및 학원
외국인을 위한 페르시아어 학원이 있음.
19. 긴급상황 대처요령
경 찰 : 각 구역마다 관할 구역에서 긴급 요청을 접수함(TEL:129)
화재시 : 이란 전역에 걸쳐 관할하는 소방서와 각 구역을 관할하는 관할 소방서로 구분됨.
- 이란전역 : 123,955554-5, 954444, 952222
긴급 의료지원
- 긴급 의료기관 요청 전화 : 129
앰블런스 요청 : 123
- 종합병원응급실 : Pars Hospital : 650051-9
Tehran Clinic : 8732931-4
Pastor no. : 8734551-7
Asia : 8733572
- 야간 의사 문의 : 각 병원마다 24시간 야간 당직의사 대기
- 야간약국(공휴일 포함) : 각 구역마다 24시간 영업하는 약국이 있음.
- 경미한 응급치료 : 각 병원마다 24시간 응급대기
차량수리 : 개인 서비스센터가 곳곳에 많이 산재되어 있어 수리에 관한 응급조치는 용이하고 직영 서비스센터가 있으나 부속조달이나 서비스제도가 낙후
- 차량고장시 부속품은 상당부분 수입해야 함.
전화
- 고장시 : 각 지역 모두 1 7
- 안 내 : 118
- 지방전화신청 : 126
- 국제전화신청 : 195
수도,전기 등 고장시
- 수 도 : 6171(전지역)
- 전 기 : 3261(전지역)
Ⅳ. 기타 일반사항
1. 환전
환율 : US$ 1 = 약 8,995 리얄(2005.7.11현재)
2. Tip 제도
고급식당, 호텔 등지에서는 15% 서비스 Charge가 함께 포함되나, 일반식당 등지에서는 책정된 Service Charge가 없어 경우에 따라 금액의 5-10% 정도 지급
3. 미용 및 이발
미용실 및 이발소가 있으나 직모를 다루는데 익숙치 않음.
4. 이란 공휴일
IRANIAN NATONAL HOLKDAYS 2005
- JANUARY
21 Friday Eid-e-Ghorban
29 Saturday Eid-e-Ghadir
- FEBRUARY
10 Thursday Anniversary of Islamic Revolution
19 Saturday Tassua
20 Sunday Assura(martyrdom of Immam Hossein)
- MARCH
19 Saturday Nationalization of Oil Industry (1951)
20 Sunday may be declared by Gov.
21-24 Mon-Thr. Iranian new year / NOROOZ
31 Thursday Arbaeen of Immam Hossein
- APRIL
01 Friday The Day of Islamic Republic of Iran
02 Saturday 13th of Norooz
08 Friday Demise of Hazrat Rasool Akram (Prophet) &
Martyrdom of Immam Hassan
09 Saturday The Martyrdom of Emem Reza
26 Tuesday Birthday of Prophet Mohammad & Immam Jafar
Sadegh
- JUNE
04 Saturday Demise Of Imam Khomeini 1989
05 Sunday Uprising Against Shah
- JULY
10 Sunday The Martyrdom Of Hazrat Fatemeh
- AUGUST
19 Friday Birthday Of Imam Ali
- SEPTEMBER
02 Friday Ordainment of Prophet Mohammad
20 Tuesday Birthday Of Imam Mehdi
- OCTOBER
26 Wednesday Martyrdom Of Imam Ali
- NOVEMBER
04 Friday Eid-e-Fetr(Changes According To The Moon)
28 Monday Martyrdom of Immam Jafar Sadegh
5. 인터넷 사용환경
일반적으로 전화회선에 모뎀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회사에 따라 위성 인터넷을 사용하기도 함.
일반 가정의 전화회선 접속은 속도가 느림.
최근 ADSL 서비스가 시작되어 점차 ADSL로 바꾸어 나가는 추세임.
6. 한국과의 시차
한국보다 5시간 30분 늦음.
섬머타임(매년 3월21일부터 9월 20일까지) 기간동안에는 4시간 30분 늦음.
7. 한국신문 구독 가능성
우편 구독 가능하나, 대체로 구독치 않고 인터넷 이용
8.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은 행 : 08-15시
우체국 : 08-12시
박물관 : 08-12시, 14-17시
* 휴무일 : 금요일, 혁명기념일, 신년(노르쥬), 5명의 이맘 순교일 및 탄신일, 호메이니 사망일 등
9. 전력사용 현황
현지 전기시스템 : 200V / 50Hz
한국제품은 50HZ / 60HZ 겸용이면 대부분 사용 가능
10. 기타 참고사항
풍토병은 없음.
기후는 쾌적하나 건조한 관계로 통상 가습기 활용
식수는 깨끗하나 석회가루가 상당 용해되어 있어 생수 구입 후 정수해서 사용(끓여서 걸르는 것이 최선의 방법)
회교국의 고유 관습
- 이란에는 하루 4회 기도(새벽, 동틀때, 한낮, 저녁)가 의무화되어 있음.
그러나, 최근들어 현지인들은 기도시간을 잘 지키지 않는 경향이 있음.
현지 종교 관습에 대한 이해와 협조가 요구됨.
- 회교 전통관습상, 여성은 외출시 반드시 머리에 스카프를 쓰고, 긴 코트를 착용 하여야 함. 끝.
- 목 차 -
Ⅰ. 이란 개관
Ⅱ. 도착전 준비사항
1. 사증 2. 식품 3. 건강진단 4. 기후 및 의복 5. 이사화물
6. 각종 증명서
Ⅲ. 도착후 참고사항
1. 주택 2. 식품 3. 교육 4. 자동차 5. 이사화물 6. 공항
7. 쇼핑 8. 식당 9. 호텔 10. 관광 11. 종교활동 12. 언론매체
13. 치안상태 14. 한국대사관 15. 재외동포현황 16. 우리기관 및 상사현황
17. 교통, 통신, 우편제도 18. 어학교육기관 및 학원 19. 긴급상황 대처요령
Ⅳ. 기타 일반사항
1. 환전 2. Tip 제도 3. 미용 및 이발 4. 이란 공휴일 5. 인터넷 사용환경 6. 한국과의 시차 7. 한국신문 구독 가능성 8.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9. 전력사용 현황 10. 기타 참고사항
Ⅰ. 이란 개관
국 명 : 이란회교공화국(The Islamic Republic of Iran)
기 후 : 대륙성 기후(4계절), 남부는 아열대성
면 적 : 165만 ㎢ (한반도의 7.5배)
인 구 : 6,700 만명 (2003년 추정)
수 도 : 테헤란 (Tehran, 1,200만명)
주요도시 : 마샤드, 이스파한, 타브리즈, 쉬라즈
인 종 : 페르시아족(51%), 아제르바이잔족(24%),
길락-마잔다란족(8%), 쿠르드족(7%), 아랍족(3%) 등
언 어 : 이란어(Farsi)
종 교 : 이슬람(국교, 시아파)
교 육 : 의무교육 8년
국 경 일 : 2.11(회교혁명 기념일)
정부형태 : 회교공화국(최고지도자 중심제)
최고지도자 : 하메네이(Ayatollah Seyyed Ali Khamenei)
대 통 령 : 아흐마디네자드(Mahmoud Ahmadinejad)
의 회 : 단원제(290석, 임기 4년)
영 해 : 12마일
국 방 : 정규군 40만명, 혁명군 20만명
화폐단위 : 리얄(Rial) US$ 1 = R.8,995(2005.7.11 현재)
회계연도 : 매년 3.21부터 익년 3.20까지
주요자원 : 석유 매장량(세계 2위), 천연가스 매장량(세계 2위)
Ⅱ. 도착전 준비사항
1. 사증 (VISA)
일반여권 소지자는 사증 사전 취득 필요(이란에서 근무시는 노동 허가 포함)
외교관여권, 관용여권 소지자는 체류기간 3개월이내는 사증 불요
주한 이란 대사관 연락처
- 주소 :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726-126
- 전화번호 : (02)793-7751-3
- FAX : (02)795-5126
2. 식품
현지에서 구입 가능한 채소나 식품 : 한국인이 좋아하는 각종 야채, 과일, 쌀 등을 쉽게 구입 가능)
현지에서 구입 불가능한 식품 : 된장, 간장, 고춧가루, 고추장, 참기름, 라면, 멸치, 미역 등은 구입 불가하므로 서울 또는 제3국에서 구입해야 함.
* 음주가 법에 의해 금지되어 있으므로 주류 반입은 불법 행위에 해당되어 구속 또는 추방 등의 엄한 처벌을 받게 됨.
3. 건강진단
의사의 수준은 상당하나 의료시설이 부족한 실정
의료기관에서 분야별 검진은 용이하나 우리나라과 같은 종합진단센타의 시설이 미비하므로 출국전 건강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함.
4. 기후 및 의복
수도인 테헤란은 4계절이 뚜렷하므로(여름철 6-8월은 고온건조함), 4계절 의복이 필요
- 서울에서 입던 의복을 그대로 가지고 오면 됨.
- 겨울에 눈이 내리나 서울과 같은 혹한은 아님.
현지 생산 의복과 수입품이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현지 제품의 품질은 떨어지나 가격은 싼 편이며 수입품은 고가
가능한 모든 의류(속옷에서 코트까지)는 한국에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
- 이란 입국시 여성은 반드시 스카프 및 긴 코트를 입어야 입국이 가능하므로 복장에 각별히 유의해야 함.
5. 이사화물
가. 전기 및 전자제품
현지 T.V. 및 Video 방식 : Secam과 PAL 공용
현지 전기시스템 : 220V / 50Hz
한국제품(50Hz / 60Hz 겸용제품)은 대부분 사용 가능
정수기, 전기담요는 한국에서 구입 요망
나. 가구, 비품 및 장식품
침대, 소파, TV, 냉장고 등 기본적인 가구 및 주방용품은 비치되어 있는 주택 임차 가능
현지가구 가격은 한국에 비해 낮은 가격이나 품질이 떨어짐.
대부분의 임차주택은 기본 가구를 갖추어 놓고 있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가구는 가져올 필요 없음.
다. 자 동 차
외국 완성차의 수입을 원칙적으로 2003.9 부터 허가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고율의 관계로 인해 수입차가 거의 없음.(벤츠C-240의 경우 $120,000 예상)
현지 조립생산 외제차가 다수 있으나, 가격이 매우 비싸며 성능이 떨어짐. 가격은 소형차 US$ 8,000 - 15,000, 중형차 US$ 35,000 - 60,000 수준
- 기아 프라이드(이란 국산화율 89%) : US$ 8,000상당
- 현대 베르나는 현지 생산중
- 기아 리오는 생산추진중
- 대우 씨에로, 마티즈는 GM대우 출범후 생산중단으로 중고차만 구입가능
라. 이사화물 탁송 및 보험
Door to Door 및 Door to Port 가능. 그러나 한국에서 이삿짐 센타에 의뢰를 할 때 Door to Door로 계약을 하더라도 현지 Agent에서 계약이행을 거부하는 경우가 가끔 있으므로 계약시 주의를 요함.
하역 항구 Bandar Abbas에서 테헤란까지 운송료는 20 feet 컨테이너의 경우 통관, 운송료는 약 US$ 1,700 소요
통관서류 및 보험관계 : B/L과 주재국 세관에서 발행하는 Arrival Notice가 필요하며 보험은 Door to Port 경우 하역항구에서 자택까지의 보험(선적지에서 보험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이 있으나 절차가 까다로워 Door to Door로 한국에서 보험까지 체결하는 방식으로 이용 하는 것을 적극 권장함.
6. 각종 증명서
가. 국제 면허증
국제면허증 통용여부 : 1년간 유효
일정기간 한국면허증으로 운전가능 여부 : 입국일로부터 6개월간 가능
현지 면허증 교체시 소요기간 : 2개월 정도
나. 무사고 운전 증명서 : 보험가입시, 할인 혜택제도가 없으므로 불요
다. 자녀 입학 관련 서류
한국학교 : 생활기록부, 건강기록부, 전입학의뢰서
인터내셔날 : 재학증명서, 수료증명서, 아동예방접종카드
라. 이사화물 탁송 관련서류 : B/L 및 보험서류
Ⅲ. 도착후 참고사항
1. 주택
주택사정은 양호한 편임.
입주시 유의사항
- 계약시 가구 및 주택사정을 계약서에 자세히 명기하여 계약 종료시 원상 복구 문제가 야기되는 것을 방지해야 함.
가구 등 비품 포함 여부 확인
- 부엌시설 : 냉장고, 가스오븐, 세탁기 식기세척기
- 가 구 : 응접세트, 식탁, 침대
2. 식품
대부분의 일반 식품은 현지시장에서 조달 가능하나, 한국음식 재료인 된장, 고추장, 간장, 고춧가루 등은 한국 또는 제3국 (바레인, U.A.E)에서 구입, 사용해야 함.
외국인을 위한 면세점이나 백화점 등의 쇼핑센타는 없음. 그러나 전자제품, 가구, 생활용품 상점이 산재되어 있어 상당수의 일반용품 구입은 가능함.
3. 교육
가. 학제 개요
사립, 공립(초등, 중등, 고등, 대학교)
2부제 혹은 3부제 수업(초등, 중등, 고등, 대학교)
나. 학교 현황 및 교육비
- 한국학교 : 초등학교 과정만 있음. (분기별 약 US$ 500)
- The British School : 초등학교 과정만 있음.(연간 8,500파운드)
- Int'l school(Tehran Int'l school) : 연간 800만 리알
(US$ 1,000 상당) + US$ 700 (등록비)
* 이태리, 불란서 학교 등이 있으나, 자국어로 수업
- Local school
· 초등학교(5년) 공립 : 무료
사립 : 연간 5백만 리알(약 US$ 580)
· 중 학 교(3년) 공립 : 무료
사립 : 연간 6-7백만 리알(약 US$ 690-810)
· 고등학교(4년) 공립 : 무료
사립 : 연간 8-10백만 리알(약 US$ 926-1,158)
다. 현지학교 입학절차
- 초등학교 : 만 7세 이후 취학
- 중등 및 고등학교 : 공립은 학구제, 사립은 학구제를 적용하지 않음.
* 외국인의 현지학교 입학은 불가능(시민권 취득 교민 2세 제외)
라. 필요 서류
- 유치원 : 보호자의 거주허가 및 노동허가 사본
(한국 유치원 없음)
- 한글학교 : 생활기록부, 건강기록부, 학교 전입학 의뢰서
4. 자동차
차량 번호판
- 차량 구입시 공장에서 임시번호판 부여 임시번호판 반납시 차량번호판 부여
자동차 보험
- 차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중형차 신차의 경우 US$ 1,000-1,500 정도
- 무사고 증명서는 인정하지 않음.
유류(무연)
- 고급 휘발유 : 리터당 1.100리얄(약 129원)
- 일반 휘발유 : 리터당 800리얄(약 94원)
운전시 유의사항
- 교통질서 매우 문란하며 안전운행이 절대 요구됨. 안전벨트 착용은 형식상 의무화 되어 있음.
- 일방통행 역주행, 반대차선 주행, 고속도로상 후진, 끼어들기, 신호무시 등 문란한 교통질서로 인해 자가운전이 매우 힘듬.
- 주차위반은 철저히 단속하는 편이나 직진 원칙이 잘 지켜지지 않고, 속도 위반은 거의 단속치 않음.
현지 운전면허 시험 개요
- 교통법, 차량정비 개요, 시내주행(필기, 단거리, 장거리, 주차)
- 국내면허증 소지자일 경우 시력검사 및 서류심사로 대체하며 이란 면허증으로 교체해 줌.
5. 이사화물
Door To Door 서비스시 통관 절차 간단 (본인 입회하에 (여권지참) 물품 확인 절차후 세관으로부터 물품 인수 운송회사가 자택까지 운반해줌)
6. 공항
공항 위치 및 공관과의 거리 : 공관에서 30분 거리, 20km
- 신공항(시내중심부에서 70km)이 2005.4.30부터 개항함. 걸프지역(두바이, 쿠웨이트, 도하 등)을 왕복하는 국제선만 등 신공항 IKA(Imam Khomeimi Airport)에 취항하며, 그 외의 국제노선은 기존의 테헤란 Mehrabad 공항에 이착륙. 추후 모든 국제선은 신공항(IKA)로 취항할 예정
7. 쇼핑
면세점 : 시내에는 없음.(공항내 면세점은 판매품목이 다양하지 못함)
백화점 및 기타 상점 : 외국인을 위한 쇼핑센터는 없으나 전자제품 상점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 있고, 가구상점 역시 밀집 되어 있어 구입 용이
개점 시간 : 09:00 - 13:00 / 16:00 - 21:00
수입이 원활치 않아 외제품의 값은 아주 비쌈.
8. 식당
이란 전통음식 Kebab 식당이 주류이며, 이란인이 운영하는 중국, 불란서, 이태리 식당이 있으나 현지화된 음식임.
9. 호텔
가. 현지 호텔 현황
A급 호텔 : 4개(Persian Charmran, Persian Elahiyeh, LALEH, HOMA)
B급 호텔 : 10개
나. 등급별 숙박료(싱글룸 기준)
A급 호텔 : US$ 150
B급 호텔 : US$ 100
C급 호텔 : US$ 30-50
D급 호텔 : Guesthouse (게스트하우스) US$ 5-15(dormitory room)
*(편집자 주) 테헤란 시내엔 1박 10$정도의 저렴한 Guest House가 많다. 이맘 호메이니 광장 근처의Mehr Guesthouse를 추천한다. 전엔 일본인 학생들이 주로 가는 곳이었으나, 최근엔 우리나라학생들도 곧잘 간다.
디른 도시에서도 상황은 그와 비슷하다. 론리플래닛IRAN 에 나온 <저렴한 숙소>를 참조할 것!
다. 예약 등 기타사항
1주일전에 예약을 원칙으로 함.
서비스 Charge 15%
10. 관광
1) 카스피해 연안
- 이란에서 휴양지로는 첫 번째로 손꼽히는 곳. 테헤란에서 북쪽으로 약 4시간 거리, 600km의 해변따라 포장도로가 곧게 뻗어 국경까지 이어져 있음.
- 밀림지역이 많고 습하여 한국날씨와 흡사한 해변 주변에는 민박업소, 빌라들이 많이 늘어져 있으며 레저스포츠를 즐길수가 있음(수상스키, 요트등).
- 세계 최상품인 철갑 상어의 알(캐비어)이 이곳에서 생산되며, 귤과 쌀의 생산지로도 유명함.
- 산 전체가 귤나무 인만큼 귤재배에 적합한 기후로 어디서나 신선한 귤을 즐길수 있음.
2) 쉬라즈
- 다리우스왕(522-485BC) 집권당시 건립되었던 당대의 최대 건축물이었던 Takht-e-jamshid(Persepolis)궁전이 있는 곳이며, '페르시아'문명의 발상지인 Fars 주의 중심도시. 당대의 최고의 시인 '사아디'와 '허페즈'시인들의 무덤이 있는 곳. 테헤란에서 항공편으로 1시간여 정도 소요(약 900km 거리)
3) 이스파한
- 압바스왕조때 이란 수도였던 지역. 폴커주(Khaju Bridge), 시오세폴, Ali-ghqpu, 이맘광장, 이맘모스크, 체헬소툰 궁전들이 유명하며, 테헤란에서 5시간 거리(400km)
4) 마샤드
- 8번째 이맘인 레자가 순교한 곳으로 시아파의 성지. 유적지로는 이맘 레자의 무덤, 문화예술의 유래가 깊은 곳으로 주요 건축물의 양식은 현대까지 연구 응용되고 있음. 이란어인 '화르시'를 만들어 낸 시인 학자 훼르도시의 묘지가 있음.
5) 하메단
- B.C 700년에 건립된 도시로 50km 떨어진 곳의 Ali-Sadr라는 마을에 '동굴'이 있으며, 도기의 주생산지로도 유명함.
11. 종교활동
한인기독교회, 한인천주교회가 있음.
불 교 : 사원은 없음.
12. 언론매체
T.V : 5 채널
일간 영자신문 : Tehran Times, Iran News, Iran daily, Kayhan international.
현지 신문일간 : Iran Jomhuri-e Islami, Kayhan, Hamshari 등 25-30개 전국지와 수백종의 지방지 및 정기 간행물이 있음.(수시로 창간과 폐간 거듭)
기타 : 격주간지 경제, 사회 및 문화소개 잡지가 다수
13. 치안상태
테헤란 이스파한 등 대도시는 대체적으로 양호하나, 여행객 및 여성들은 사람이 많은 곳에서 조심 필요
- 특히 여성의 경우 관광지 이외의 도시는 가급적 여행자제 필요
14. 한국대사관
주소 : No. 18, West Daneshvar st. Shaikhbahaei ave. Vanak sq. Tehran, Iran.
전 화 : (0098-21) 8805-4900 - 4
팩 스 : (0098-21) 8805-4899
E-Mail : emb-ir@mofat.go.kr
http://www.mofat.go.kr/iran/
근무시간
- 일요일 - 목요일 : 08:30 - 16:30(점심시간 12:00 - 13:30)
- 금요일, 토요일은 공휴일
* 공관 현지 경비원 24시간 상주
15. 재외동포현황
대부분 주재상사원, 건설사 직원 등 체류자이며 소수의 이란 국적을 취득한 국제 결혼자로 구성되어 있음. (2004.12월 현재 체류자 781명, 국제결혼자 47명, 합계 828명)
16. 우리기관 및 상사현황
가. 한인 단체
1) 재이란 한인회
- 창립일 : 1973년 3월
- 주 소 : No. 2nd F 1, No.69. Sayeh Alley. Jordan St.
- 전 화 : (98-21) 205-8731,9
2) 한인 기독교회
- 주 소 : 7-30TH TIR AVE. TEHRAN
- 전 화 : (98-21) 670 - 8698
3) 한인 천주교회
- 창립일 : 1978년
- 주 소 : NO. 73 NOFL AVE. TEHRAN
- 전 화 : (98-21) 670-3210
4) 한국인 학교
- 주 소 : NO. 21, 4TH ST., BUCHAREST AVE.
- 전 화 : (98-21) 8734910
- 교 사 : 한국인 교사
- 학 년 : 1-6학년(초등과정)
나. 진출 우리기업 현황
대림산업
- 주 소 : No.148, Near Mokro Drugstore,Khoramshahr Ave., Tehran
- 전 화 : (98-21) 8740687∼9
- FAX : (98-21) 8752044
대우 International
- 주 소 : No.27 Shahid Nayebi Alley, Vessal Shirazi Ave., Tehran
- 전 화 : (98-21) 6463571-7
- FAX : (98-21) 6469805,6492057
대우 건설
- 주 소 : 4th Fl., No.225, Nirza Shirazi Ave, Between beheshiti
Motahari
- 전 화 : (98-21) 855-4441~3
- FAX : (98-21) 855-4440
대우 전자
- 주 소 : 6th Fl., No.33, West Atefi St., Afriqa Ave., Tehran
- 전 화 : (98-21) 201-2855/65
- FAX : (98-21) 201-2871
동부한농화학
- 주 소 : No.4, 2nd Fl., Bldg 87, East Atefi, Africa Ave., Tehran
- 전 화 : (98-21) 2048255
- FAX : (98-21) 2056517
삼성전자
- 주 소 : No.39-34 14th St. Bokharest St. Tehran
- 전 화 : (98-21) 875-8551~3
- FAX : (98-21) 875-8554
삼성물산
- 주 소 : No.8, Khashayar St, North Gandhi Ave., Tehran
- 전 화 : (98-21) 8880512∼7
- FAX : (98-21) 8880518
SK Network
- 주 소 : Ostad Motahari Ave., Jahan Tab St., Shahid
Naghdi St. Block 30, Ground Floor
- 전 화 : (98-21) 8744351, 8754658
- FAX : (98-21) 874-2722
LG 건설
- 주 소 : No 63, 5th Fl., Zafar Ave., Shareeati St., Tehran
- 전 화 : (98-21) 2272401
- FAX : (98-21) 2272480
LG 상사
- 주 소 : No 63, 6th Fl., Zafar Ave., Shareeati St., Tehran
- 전 화 : (98-21) 2277063∼66
- FAX : (98-21) 2277067
LG 전자
- 주 소 : No 63, 2~4th Fl., Zafar Ave., Shareeati St., Tehran
- 전 화 : (98-21) 2277063
- FAX : (98-21) 2277067
코오롱 International
- 주 소 : No.23, Rahimi Aly., Vali Asr Ave., Tehran
- 전 화 : (98-21) 2058824, 2058847
- FAX : (98-21) 2058672
포스코 건설
- 주 소 : No.6, Farhad Alley, Daneshgah St., Darvaze Shiraz Ave., Esfahan
- 전 화 : (98-311) 627-0850/5302
- FAX : (98-311) 627-0238
현대종합상사
- 주 소 : No.7, Saba Blvd., Africa Ave., Tehran
- 전 화 : (98-21) 2050082/4
- FAX : (98-21) 2050085
현대건설
- 주 소 : No.7, Saba Blvd., Africa Ave., Tehran
- 전 화 : (98-21) 2050081, 2053276
- FAX : (98-21) 2053277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 주 소 : 1st Fl., No.33, South Atefi St., Africa Ave. Tehran
- 전 화 : (98-21) 202-7003, 202-7004
- FAX : (98-21) 201-2733
17. 교통, 통신, 우편제도
가. 교통수단 : 버스, 시영택시, 기차, 콜택시, 비행기
콜택시 제도가 잘 발달되어 있음.
나. 통신 및 전화제도
전화(공중전화 포함, 기계식 시스템), FAX, TELEX
장거리전화 : DDD
* 공중전화로 국제전화는 불가능
통신사정(국제전화)이 극히 좋지 않음.
다. 우편제도
소포, 항공우편, 선박우편, 등기, DHL, 속달우편 등
18. 어학교육기관 및 학원
외국인을 위한 페르시아어 학원이 있음.
19. 긴급상황 대처요령
경 찰 : 각 구역마다 관할 구역에서 긴급 요청을 접수함(TEL:129)
화재시 : 이란 전역에 걸쳐 관할하는 소방서와 각 구역을 관할하는 관할 소방서로 구분됨.
- 이란전역 : 123,955554-5, 954444, 952222
긴급 의료지원
- 긴급 의료기관 요청 전화 : 129
앰블런스 요청 : 123
- 종합병원응급실 : Pars Hospital : 650051-9
Tehran Clinic : 8732931-4
Pastor no. : 8734551-7
Asia : 8733572
- 야간 의사 문의 : 각 병원마다 24시간 야간 당직의사 대기
- 야간약국(공휴일 포함) : 각 구역마다 24시간 영업하는 약국이 있음.
- 경미한 응급치료 : 각 병원마다 24시간 응급대기
차량수리 : 개인 서비스센터가 곳곳에 많이 산재되어 있어 수리에 관한 응급조치는 용이하고 직영 서비스센터가 있으나 부속조달이나 서비스제도가 낙후
- 차량고장시 부속품은 상당부분 수입해야 함.
전화
- 고장시 : 각 지역 모두 1 7
- 안 내 : 118
- 지방전화신청 : 126
- 국제전화신청 : 195
수도,전기 등 고장시
- 수 도 : 6171(전지역)
- 전 기 : 3261(전지역)
Ⅳ. 기타 일반사항
1. 환전
환율 : US$ 1 = 약 8,995 리얄(2005.7.11현재)
2. Tip 제도
고급식당, 호텔 등지에서는 15% 서비스 Charge가 함께 포함되나, 일반식당 등지에서는 책정된 Service Charge가 없어 경우에 따라 금액의 5-10% 정도 지급
3. 미용 및 이발
미용실 및 이발소가 있으나 직모를 다루는데 익숙치 않음.
4. 이란 공휴일
IRANIAN NATONAL HOLKDAYS 2005
- JANUARY
21 Friday Eid-e-Ghorban
29 Saturday Eid-e-Ghadir
- FEBRUARY
10 Thursday Anniversary of Islamic Revolution
19 Saturday Tassua
20 Sunday Assura(martyrdom of Immam Hossein)
- MARCH
19 Saturday Nationalization of Oil Industry (1951)
20 Sunday may be declared by Gov.
21-24 Mon-Thr. Iranian new year / NOROOZ
31 Thursday Arbaeen of Immam Hossein
- APRIL
01 Friday The Day of Islamic Republic of Iran
02 Saturday 13th of Norooz
08 Friday Demise of Hazrat Rasool Akram (Prophet) &
Martyrdom of Immam Hassan
09 Saturday The Martyrdom of Emem Reza
26 Tuesday Birthday of Prophet Mohammad & Immam Jafar
Sadegh
- JUNE
04 Saturday Demise Of Imam Khomeini 1989
05 Sunday Uprising Against Shah
- JULY
10 Sunday The Martyrdom Of Hazrat Fatemeh
- AUGUST
19 Friday Birthday Of Imam Ali
- SEPTEMBER
02 Friday Ordainment of Prophet Mohammad
20 Tuesday Birthday Of Imam Mehdi
- OCTOBER
26 Wednesday Martyrdom Of Imam Ali
- NOVEMBER
04 Friday Eid-e-Fetr(Changes According To The Moon)
28 Monday Martyrdom of Immam Jafar Sadegh
5. 인터넷 사용환경
일반적으로 전화회선에 모뎀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회사에 따라 위성 인터넷을 사용하기도 함.
일반 가정의 전화회선 접속은 속도가 느림.
최근 ADSL 서비스가 시작되어 점차 ADSL로 바꾸어 나가는 추세임.
6. 한국과의 시차
한국보다 5시간 30분 늦음.
섬머타임(매년 3월21일부터 9월 20일까지) 기간동안에는 4시간 30분 늦음.
7. 한국신문 구독 가능성
우편 구독 가능하나, 대체로 구독치 않고 인터넷 이용
8.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은 행 : 08-15시
우체국 : 08-12시
박물관 : 08-12시, 14-17시
* 휴무일 : 금요일, 혁명기념일, 신년(노르쥬), 5명의 이맘 순교일 및 탄신일, 호메이니 사망일 등
9. 전력사용 현황
현지 전기시스템 : 200V / 50Hz
한국제품은 50HZ / 60HZ 겸용이면 대부분 사용 가능
10. 기타 참고사항
풍토병은 없음.
기후는 쾌적하나 건조한 관계로 통상 가습기 활용
식수는 깨끗하나 석회가루가 상당 용해되어 있어 생수 구입 후 정수해서 사용(끓여서 걸르는 것이 최선의 방법)
회교국의 고유 관습
- 이란에는 하루 4회 기도(새벽, 동틀때, 한낮, 저녁)가 의무화되어 있음.
그러나, 최근들어 현지인들은 기도시간을 잘 지키지 않는 경향이 있음.
현지 종교 관습에 대한 이해와 협조가 요구됨.
- 회교 전통관습상, 여성은 외출시 반드시 머리에 스카프를 쓰고, 긴 코트를 착용 하여야 함. 끝.
출처 : 이란여행
글쓴이 : river-run 원글보기
메모 :
'중동................... > 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스피해 (0) | 2008.06.20 |
---|---|
엘부르즈 산맥 [Elburz Mountains] (0) | 2008.06.20 |
[스크랩] 해발 3천 미터 알보르즈 산맥을 넘으면서 (0) | 2007.08.29 |
[스크랩] 테헤란 유리 세라믹 박물관(Glass and Ceramics Museum of Iran) (0) | 2007.07.17 |
[스크랩] 이란 테헤란 국립 박물관 (0) | 2007.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