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아에서 이맘이란?
쉬아 이슬람은 순니 이슬람 역사의 정통 칼리파들 중 4대 칼리파 알리를 제외한 세 명을 정권의 찬탈자들로 간주하고 있다. 쉬아의 관점에 의하면, 4대 칼리파인 알리는 예언자 무하마드가 사망한 후 합법적인 초대 이맘이었다. 쉬아는 이슬람의 이맘이 예언자 무하마드처럼 순수하고 죄과가 없어야 한다고 믿었다. 순수함과 무결점성의 측면에서, 쉬아는 알리와 알리의 직계 자손들이 무하마드의 순수함과 무결점성을 상속받았다고 주장했으며, 이를 근거로 이슬람 공동체를 합법적으로 통치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사람들은 이들 뿐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쉬아의 전통적인 이맘론은 이슬람 공동체의 원로들이 지도자를 선출해야 한다고 강조한 순니의 이론을 단호히 부정하였다.
쉬아가 주장하고 있는 이맘의 순수성과 무결점성과 관련하여, 쉬아는 자신들만이 이슬람의 내적인 비밀(바띤)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예언자로부터 상속받았으며, 따라서 자신들만이 꾸란과 하디쓰를 해석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쉬아는 예언자에 관한 많은 순니의 하디쓰를 인정하면서도, 이맘에 관한 많은 특별한 하디쓰를 독자적으로 가지고 있다.
쉬아의 저명한 이론가였던 알리 샤리아티(이슬람 혁명에 결정적인 이론을 제공한 이론가)는 12명의 이맘들을 "단순히 신에 가까이 다가가고 의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순수하고 신성한 초인적 존재"로 해석하려는 쉬아의 대중적 경향에 반대하였다. 종교적 정적주의보다는 정치적 행동주의를 강조하는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에 보조를 맞추면서, 샤리아티는 이맘 제도의 진정한 의미를 백성을 올바르게 인도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건설하려는 순수하고 혁명적인 지도력의 확립에 두었다. 그는 전통적으로 순수성과 무결점성을 의미하는 쉬아 이스마(isma')의 개념을 "종교적 경건함, 사고의 순수함 그리고 사회적 지도력"이라는 보다 구체적인 의미로 해석하였다.
쉬아에서 극단적인 혁신의 개념으로 간주되고 있는 샤리아티의 이맘에 대한 해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대중 예배에서 신자들을 인도하거나 예배자들의 앞에 서 있는 사람 또는 종교 지도자를 의미하는 순니에서의 이맘의 의미와 유사한 것이었다.(순니와 쉬아 이슬람에서 종교적으로 순수한 상태에 있는 경건한 무슬림은 어느 누구라도 대중 집단 예배의 인도자 또는 안내자를 의미하는 이맘으로 봉사할 수 있다.) 순니는 가끔 자신들의 칼리파를 이맘으로 불렀으며, 순니 이슬람의 4대 법학파의 창시자인 아부 하니파, 말리크 븐 아나스, 알-샤피이 그리고 이븐 한발도 이맘으로 불렸다. 아라비아 반도에서 와하비 운동을 주도했던 사우드 가문의 지도자들도 종종 이맘으로 불렸다. 그리고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의 창시자인 하산 알-바나의 서간문들도 {순교자 이맘 하산 알-바나의 편지 모음집}(Majmū'at Rasā'il al-Imām al-Shahīd Ʉasan al-Bannā)라는 제목의 책으로 발간되었다.
순니와 쉬아 모두 다 집단 예배의 인도자를 이맘으로 칭했지만, 이란의 쉬아는 특히 알리 이후 순수하고 죄가 없는 12명의 이맘들에게 이 용어를 사용한 반면, 순니는 존경받는 특정 이슬람 지도자들에게 이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라크와 레바논 등 아랍어를 구사하는 국가 내의 쉬아들은 이맘에 관한 이란식 해석과 순니식 해석을 혼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쉬아는 이맘이라는 용어를 이 세상의 종말에 메시아로 다시 등장하게 될 12번째 이맘에게만 특별히 국한시켜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쉬아는 "이맘의 몫"을 의미하는 샤흠 알-이맘(shahm al-imām)이라는 종교 세금을 부과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맘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건의 전후 관계와 배경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에서는 쉬아 12이맘파의 순수하고 죄과 없는 12명의 이맘들을 지칭하는 데 이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알리 샤리아티의 급진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이란의 학생들이 이란 혁명 기간 동안 아야툴라 호메이니에게 이맘이라는 칭호를 부여한 것은 단순히 그가 "혁명의 상징적 지도자이자 백성들의 대중적 의지를 대변하는 카리스마적 지도자"였다는 것을 의미했다. 호메이니 자신도 결코 메시아적 은둔 이맘이라고 주장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주장을 이란의 다른 종교 학자들처럼 불경스러운 짓이라고 분명히 못 박았다. 그러나 이란의 대부분 비식자층들은 호메이니를 천 년 동안 기다려 온 쉬아의 메시아 이맘으로 간주하였다. 이들은 호메이니가 이란에 없었던 1964년부터 1979년 사이의 기간을 쉬아 12대 이맘이 874년부터 현재까지 은둔하고 있는 것과 연관시켰다. 이와 관련하여 호메이니가 망명 생활을 마치고 에어 프랑스 전세기 편으로 귀환하자, 호메이니의 이슬람 공화국에 반대했던 저명한 비평가 아야툴라 샤리아트마다리 Ayatollah Shari'atmadari는 어느 누구도 12대 이맘이 점보 제트기를 타고 귀환하리라고는 기대하지 않았다고 일침을 놓았다. 이러한 비평에서 알 수 있듯이, 일부 소수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이란의 경건한 종교인들과 지식층들은 호메이니에 관련된 메시아적 미화에 동의하지 않았다.
'종교................... > 이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아와 수니의 차이 (0) | 2008.07.18 |
---|---|
카르발라 사건 (The event of Karbala) -야슈라 절기의 이해 (0) | 2008.07.18 |
무하마드 사후 계승권 분쟁 (쉬아 발생 원인) (0) | 2008.07.17 |
이슬람(Islam), 알라(ALLAH), 무슬림(MUSLIM) (0) | 2008.07.17 |
이슬람(Islam) 이해 (0) | 2008.07.17 |